눈 건강의 중요성
눈은 우리의 신체 중 노화가 가장 빨리 찾아오는 기관으로 발병 초기 뚜렷한 자각증세가 없어 무엇보다 조기발견을 통한 사전 예방이 중요합니다. 대표적인 눈 질환에는 백내장, 녹내장, 당뇨망막병증, 나이관련 황반변성, 약시 등이 있습니다.
▶눈 건강을 위한 생활수칙◀
1. 약시를 조기에 발견하려면 되도록 빨리 만 4세 이전에 시력감사를 받습니다.
● 약시란 안구자체나 시신경에 이상이 없지만 정상 시력이 나오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. 시력 발달 시기에 굴절이상 (원시, 난시, 짝시 등), 사시, 시자극결핍(눈꺼품처짐, 백내장 등)으로 발생합니다.
● 조기에 발견된 약시일수록 치료효과가 크며 치료기간이 짧아집니다. 6~7세 까지 눈 기능이 대부분 발달하므로 약시의 조기 발견이 중요합니다.
● 약시를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영구적인 시력장애와 입체감각, 거리 감각이 평생동안 상실됩니다.
2. 40세 이상 성인은 정기적으로 눈 검사를 받습니다.
● 실명을 일으키는 주요 질환은 백내장, 녹내장, 나이관련 황반변성, 당뇨망막병증입니다. 이러한 질환들은 나이가 들수록 유병률이 높아집니다.
● 40세 이상에서 실명을 일으키는 질환이 유병률이 높아지므로 조기발견을 위하여 정기적인 눈 검사가 필요합니다.
3. 당뇨병과 고혈압, 이상지질형증(고지혈증)을 꾸준히 치료합니다.
● 당뇨망막병증은 현재 성인에서 실명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이며 당뇨병 환자는 당뇨병이 없는 사람보다 실명할 위험이 25배 높습니다.
● 혈당과 혈압, 혈중지질이 높으면 당뇨망막병증의 진행이 가속화되므로 이들을 엄격히 조절하는 것이 당뇨망막병증의 진행을 늦추는데 도움이 됩니다.
● 혈당이 잘 조절될수록 백내장의 위험이 줄어듭니다.
4.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때 의사와 상담합니다.
● 눈의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렌즈를 착용하면 각막염등을 유발하여 시력과 눈 건강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● 알러지 결막염 등의 눈 건강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● 10세 미만인 어린이는 안경교체시에도 의사와 상담해야하며 성인의 경우 근시, 원시, 노안 등 굴절이상 이외에 다른 질환이 없는지 확인 후 올바른 안경을 처방받아야 합니다.
5. 담배는 반드시 끊습니다.
● 나이관련 황반변성 발병 위험도는 비흡연자보다 흡연자에게서 3배 가량 높게 나타납니다.
● 금연을 한지 20년ㅇㄴ 지나야 황반변성 발생 위험이 감소하게 되므로 젊은 시절부터 금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● 흡연과 알코올의 섭취는 백내장의 위험 요소로 알려져 있습니다.
6. 야외활동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모자 또는 선글라스를 착용합니다.
● 동물 실험을 통해 자외선이 백내장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. 모자나 선글라스가 자외선 차단에 도움이 됩니다.
● 황반변성 예방을 위해 장기간 햇빛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.
7. 실내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고, 장시간 컴퓨터 사용을 자제합니다.
● 실내의 건조한 공기는 겨울철 안구 건조증을 유발하는 가장 주된 원인입니다. 실내 온도 18℃, 실내습도 60% 정도를 유지합니다.
● 하루에 3회 이상 환기를 하여 실내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하도록 합니다. 실내의 오염된 공긴ㄴ 지속적으로 눈을 자극해 염증을 유발하고, 만성적인 안구건조증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.
● 히터 에어컨, 선풍기 바람을 얼굴에 직접 쐬는 행동은 금물입니다. 바람이 눈에 직접 닿으면 눈물의 증발이 증가하여 안구 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8. 지나친 근거리 작업을 피하고, 실내조명을 밝게 유지합니다.
● 너무 가까운 거리에서 오랫동안 책을 보거나 일을 하면 근시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집니다.
● 조명이 어두운 곳에서 독서나 작업을 하는 경우 과다한 조절이 일어나 근시가 진행되므로 실내 조명을 밝게 유지합니다.
● 스포츠 등의 야외 활동을 통해 근시의 발생과 진행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.
9. 작업과 운동시 적절한 안전 보호 장구를 착용합니다.
● 눈 손상은 산업재해, 교통사고의 증가로 인해 더불어 증가하는 추세로 국내 눈 질환의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.
● 눈 손상은 처음에는 경미하게 보이더라도 눈 기능에 미치는 영향이 커서 사회적, 경제적, 손실이 큽니다.
● 눈 손상은 철자한 안전교육, 보호장구의 착용등ㅇ로 예방이 가능합니다.
(출처 : 눈 건강관리를 위한 9대 생활수칙(대한안과학회, 보건복지부, 질병관리본부 2012)
'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녹내장 발병 원인 및 치료방법 (3) | 2024.11.30 |
---|---|
백내장 발병 원인 및 치료방법 (1) | 2024.11.29 |
슬로우 조깅의 놀라운 운동효과 (2) | 2024.11.28 |
런닝이 좋은이유 및 주의사항 (0) | 2024.11.27 |
허벅지는 우리몸의 쓰레기 소각장/허벅지 근육의 역할과 운동처방법 (2) | 2024.11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