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ontent="user-scalable=no, initial-scale=1.0, maximum-scale=1.0, minimum-scale=1.0, width=device-width"> 2025 소득세법 개정 / 직원할인 한도초과시 근로소득 간주 과세 대상
본문 바로가기

경제

2025 소득세법 개정 / 직원할인 한도초과시 근로소득 간주 과세 대상

반응형

 

 

 

 

임직원 차량 구매 할인은 매년 완성차 노조가 사측에 협상의 조건으로 제시할 정도록 비중이 큰 복지 제도로 꼽힙니다. 그러나  2025년부터 이런 복지제도에 정부가 할인된 금액이 일정금액을 초과하면 근로소득으로 간주하여 과세를 할 예정입니다. 

 

이에 따라 비과세한도는 '시가의 20% 또는 연간 240만원 중 큰 가격'으로 비과세 한도를 초과하는 금액을 근로소득으로 간주해 과세하게 됩니다. 

 


 

 

 

A자동차 회사가  4000만원 차량의 25%를 할인하여 종업원 B씨에게 판매한다면

 

▶ 시장판매가격 : 4000만원

▶ 직원구입가격 : 3000만원

할인받은금액 : 1000만원

비과세한도 : 800만원

과세금액 : 200만원

 

 

 


 

C전자제품 회사가 300만원의 제품을 30%할인해서 판매한다면

 

시장판매가격 : 300만원

직원구입가격 : 210만원

할인받은금액 : 90만원

비과세한도 : 240만원

과세금액 : 0

 * 할인받은 금액이 비과세 한도보다 작으므로 전액 비과세

 

 

 


 

국민연금, 건강보험료도 증가


비과세 한도를 초과하는 종업원 할인금액이 소득금액 최상단에 얹히면 타격이 크다. 소득세는 누진세 구조로 과세표준 '1400만원 이하'는 세율이 6%지만, 과표 '8800만원 이상 1억5000만원 이하'는 세율이 35%나 된다. 국민연금이나 건강보험료, 고용보험료 등도 소득에 비례해 올라간다.
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